-
복벽 복압 장기 돌출 탈장 봉합 개복술 재발 합병증 감염증 염전 탈장 원인 병태 생리 주요 위치 증상 수술 치료 간호카테고리 없음 2021. 8. 20. 00:59
1) 탈장원인 탈장은 복벽의 약화와 복압의 증가로 발생한다. 복벽은 질병이나 노화에 따라 약해지고 복압은 임신 비만 기침 재채기 무거운 것을 들어올리는 행위 변비 배변 시기 길이 등에 따라 증가한다. 디스크의 특징은 창자가 튀어나온 것이 아니라 그런 돌출이 일어날 수 있는 열린 틈이 중요하다.
다양한 탈장을 가리켜 분류하기 위해 의학용어는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탈장의 정의와 달리 매우 논리적으로 돌출된 장이 아닌 서혜가 일어날 수 있는 위치나 지역을 사용하면
병태 생리탈장은 난생 첫해마다 발병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 청소년기까지 갈수록 두 번째로 발병률이 높고 16세에서 20세 사이에는 낮지만 최고의 빈도를 보인다. 디스크는 여성보다는 남성에서 4배 이상의 빈도를 보인다.
일반적으로 incisional hernia의 대부분은 개복 수술 후에 발생한다.
특히 수술 후 수술상 감염으로 인해 상처가 쉽게 낫지 않을 경우 탈장 가능성이 증가한다.
겉으로는 상처가 완전히 아문 것처럼 보이지만 피부 아래 근막은 열려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즉 근막이 닫히지 않은 상태에서 피부만 치유되면 열려 있는 근막 사이에 디스크가 생기는 경우가 많다.
3) 탈장 증상과 징후 신체 검진 시 복부가 돌출되어 덩어리를 촉진하면 유연하고 아프다. 긴장하거나 힘을 주면 내장이 커져 압통을 호소한다. 4) 탈장진단적 검사탈장의 진단은 시진과 촉진에 의한다. 작은 디스크는 촉진보다는 선 자세의 환자를 시진하는 것이 좋다.
이는 특히 여성이나 어린이에게는, 그런데 위에 놓인 각종 지방 때문에 기침 또는 긴장으로 인한 확장성 충격은 별로 느껴지지 않는다.
환자들은 선 자세뿐 아니라 반듯이 누운 자세로도 검사를 받아야 한다.
여성의 경우를 고려할 때, 가장 좋은 진단은 두 손가락을 천서혜륜 위에 놓고 기침하거나 더 좋은 방법은 복부근육의 조직을 자발적인 수축으로 내복압을 생성시켜 꾸준히 증가시켜 그 팽창성 충격을 촉진하는 것이다.
5) 탈장치료 - 내과적 관리 : 복암을 증가시키는 활동을 모두 피한다. 변비와 배변시 긴장을 예방하기 위해 배변완화제와 고섬유식을 섭취한다. 긴장과 신전을 피하기 위해 적절한 신체역학을 이용한다. 활동 시 탈장대를 사용할 때는 매일 탈장대 부위의 피부를 평가하고 가볍게 파우더를 발라 피부를 보호한다.
- 외과적 케어 : 내과적 치료로 병의 진전이나 감쇠, 폐색, 염전 등을 예방할 수 없는 경우 외과적 복구 수술을 시행함 통증이 적고 회복이 빠른 복강경을 통해 탈장 봉합술과 개복술을 시행한다.
수술은 복부 개구부를 통해 전위된 복막, 장, 대망을 원위치로 돌려놓은 뒤 개구부를 봉합한다.
재발을 예방하기 위해 근막이나 다양한 합성섬유를 사용해 근육벽을 강화하는 탈장 성형술을 하기도 한다.
6) 탈장간호 중재 간호사는 대상자의 합병증 여부를 관찰하고, 적절한 수분 섭취와 고섬유 소식, 적절한 신체역학에 대해 설명하여 긴장과 신전을 피하도록 한다. 대상자는 체중증가를 피하여 금연한다.
수술 후 절개부위의 발적, 열감, 배액, 통증 등이 있는지 관찰하고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원을 찾도록 교육한다.
전신 마취를 한 경우에는 폐 확장을 위해 심호흡과 체위 변경을 자주 한다.
안위 증진, 긴장 예방 비뇨기 상태의 사정, 상처 부위의 감염 및 출혈, 음낭 부종의 유무를 확인한다.
탈장합병증→탈장 합병증은 감염과 염전이다.
감경은 탈장이 복강 내로 돌아오지 못하는 경우로 전형적인 장폐색 증상을 가져온다.
염전은 돌출된 장고리가 너무 심하게 조여져 혈류가 차단돼 조직이 괴사하는 현상이다.
염전이나 감돈은 모두 심한 통증, 구역질, 구토, 발열을 동반한다.
담낭염 정담낭염은 담낭벽의 염증을 말한다. 담낭염은 발병 기간에 따라 급성담낭염과 만성담낭염... blog.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