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술로 완치되는 저항성 고혈압,카테고리 없음 2021. 7. 19. 22:06
신장의 교감신경을 차단하고 혈압조절. 효과의 안전성을 입증하는 서울대 포스텍 연구진, 획기적인 복강경 치료기술개발내과적 치료로는 한계가 있었던 저항성 고혈압의 새로운 해결책이 제시되었습니다.
서울대병원 정창욱·최의근·포스텍 박성민 교수는 "오송 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과 다학제 연구팀을 구성해 복강경 수술로 신경을 차단하고 혈압을 조절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왼쪽부터 정창욱, 최의근, 박성민 교수, 전 세계 성인의 약 40%는 고혈압 환자로 연간 1,000만 명 정도가 사망하는 질병 원인 1위입니다. 이 중 10%는 3개 이상의 항고혈압제도 듣지 않는 저항성 고혈압입니다. 이들은 대부분 뇌졸중, 심혈관 질환 등의 심각한 합병증으로 사망합니다. 신장 교감 신경을 차단하면 혈압이 조절된다는 것은 이미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기존 연구자들은 혈관 속에 카테터를 넣어 신장 동맥 외벽을 지나는 교감 신경을 차단하려고 했지만 성공하지 못했습니다. 세계 어느 연구로도 삼상 임상시험을 극복할 수 없었습니다.
연구팀은 이 방법의 근본적인 한계를 찾아냈습니다. 환자의 절반 정도는 3밀리 이하의 작은 동맥을 가지고 있고 카테터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또한 신경의 약 30% 정도는 동맥에서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혈관 내에 들어간 카테터로 외부에 존재하는 신경을 완전히 차단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서울대 포스텍 연구팀은 환자의 혈관이나 신경 분포와 상관없이 모든 신경을 차단할 수 있는 복강경 수술 장비와 수술 기법을 개발했습니다.
연구팀이 개발한 복강경 수술장비. A부분에서 신장동맥을 감싸고 전기로 열을 발생시켜 교감신경을 차단합니다.신동맥을 외부에서 360도 전면을 감싸 전기 에너지를 일정한 온도에서 신경으로 전달하는 인공지능형 스마트 제어기술입니다. 혈관의 손상은 없고, 동맥벽 근처의 교감 신경 뿐만 아니라 거리가 떨어진 곳의 신경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연구팀은 4마리의 돼지 양쪽 신장에 새로운 방법의 신경 차단술 7건을 시행하여 효과적으로 신경이 차단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돼지와 인간은 키와 위치가 아주 비슷해요. 아직 동물실험을 통한 기술 검증 단계이지만 매우 유용한 기술이 될 것이라고 연구팀은 조심스럽게 자신하고 있습니다.첫 번째 연구 이후 계속 실시된 동물시험과 장기간의 대동물 생존 연구에서 치료군과 대조군의 혈압 변화 차이가 매우 극적이었습니다.이만한 결과를 보고한 연구 성과는 현재까지 없습니다.정창욱 교수(비뇨의학과) 신장신경조절로 고혈압 및 부정맥질환을 조절할 수 있다면 치료 패러다임에 큰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향후 동물실험과 임상연구의 결과가 기대됩니다.「최의근 교수(순환기 내과) 전통적인 내과 질환을 최소 침습 수술이라고 하는 외과적 방법과 첨단 공학의 지원으로 극복한 것은, 큰 발상의 전환입니다」다학제 협업 연구의 모범적인 사례입니다.박성민 교수(창의IT융합공학과)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질환극복기술개발사업으로 진행된 이번 연구는 혁신성을 입증하여 국제학술지 '비뇨임상연구(Investigative and Clinical Urology)' 최근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