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변장애 (장폐색 장중첩증 장게실염 과민성장증후군 자극성장증후군 염증성장질환 크론병 궤양성대장염 복막염 충수돌기염 맥바니 반동성압통 대장암 탈장치질) [성인간호학: 소화계]카테고리 없음 2021. 12. 11. 15:13
장폐색(Intestinal Ostructi on) [1] 원인 1. 기계적 폐색
1. 유착: 소장폐색의 가장 흔한 원인
2) 탈장: 감돈탈장, 아교액성탈장은 폐색을 유발
3) 장축 염전: 길이가 180° 이상 꼬이고, 장관의 상하부가 막힌 상태
4. 장중첩증 : 장 일부가 자연스럽게 망원경처럼 겹쳐진 상태
2. 신경성 폐색: 마비성 장폐색(대부분 복강 수술시 발생)
3. 혈관성 폐색: 복강동맥이나 상하장간막동맥 혈류차단(색전, 혈전)
4. 기타: 복막자극, 폐렴, 심근경색증, 외상, 패혈증, 전해질불균형, 다발성경화증, 파킨슨질환
장폐색 원인 [2] 증상
1. 경련성 통증
2. 구역질, 구토 : 근위부 소장폐색시 심함 (대장폐색시 잘 나타나지 않음)
3. 변비
4. 복부팽만
1) 소장폐색 초기 : 장관 내 정체된 장내액에 세균이 증식하여 공기를 삼켜 복부 팽만 악화
2. 대장폐색 : 서서히 진행
5. 장음 : 초기에는 고음, 후기는 감소 또는 소실
6. 발열 : 괴사 시
[3] 진단 검사
1. 엑스레이 촬영
2) 혈액검사 : 체온증가, 탈수(Hb, Hct증가), 전해질(Na, K, Cl감소)
[4] 치료 및 간호 중재
1) 단식
2. 체액과 전달되는 불균형 교정
3. 장관삽입 : 감압
4. 감염예방
5) 휴식
6) 외과적 수술 : 장 제거술, 결장루술·바이패스술(반응에 따라 48시간 이내 수술 여부 결정)
장계실염(Intestinal Diverticulosis) 병태생리
1. 대게 실증 : 소장 또는 대장의 뿌리층을 통하여 점막이 탈출 또는 주머니(게실) 형성
2. 대게열매 불꽃
1) 하나 이상의 게실에 염증이 발생, 소화되지 않은 음식물이나 세균이 게실 내에 정체되어 발생
2) 주로 S상결장에서 발생(배변시 직장에 보내기 위해 높은 압력이 필요한 부분)
[2] 원인
1. 관강내 압력이 증가
2. 저섬유식으로 인한 변비
3. 노화 비만 배변시 긴장
4) 장근육위축 허약
[3] 증상
1. 변비, 막연한 복부 통증, 복부 경련, 복부 팽만
2) 정도와 부위에 따라 구역질, 구토좌하복부통, 장습관의 변화(설사, 변비), 직장출혈
3. 심한 고창, 발열
4) 급성증상은 과식이나 술, 거친 음식 섭취 후 발생
5) 게실염에 의한 부종, 섬유화에 의한 장폐색, 누공 발생 가능: 심할 경우 천공에 의한 복막염
[4] 진단 검사
1. 복부 X-ray, CT
2) 급성 게실염의 경우 바륨 관장 및 대장 내시경은 천공의 우려가 있으므로 금기
3. 백혈구 증가, 적혈구 침강속도 증가
[5] 치료 및 간호 중재
1) 급성기 : 단식 또는 저잔여식 제공, 잠자리 안정
2) 장폐색시 비위관 삽입 : 장내 압력 감소
3) 금식시 수액요법, 총 비경구 영양공급
4. 항생제, 진통제 투여(마약성 진통제 투여 금지: 분절운동, 관강압력 증가)
5) 복강 내압을 증가시키는 활동을 피한다(굽힘, 무거운 것 올리기, 힘주기, 허리 굽히기, 기침, 구토)
6) 충분한 수분 섭취(1일 2L 이상, 최소한 8잔의 물 섭취)
7) 비만 시 체중 감소
8) 콩, 씨가 있는 과일, 야채를 피한다
9) 급성기(악화기)에는 고섬유식을 피하고 저잔류식을 제공, 회복 후 고섬유식을 시작, 지방 및 적육을 제한
10) 변비를 피하기 위해 식물성 배변완화제를 복용
11) 수술 : 게실 파열에 의한 복막염, 골반농양, 장폐색, 누공시 조절할 수 없는 출혈을 한 경우 시행(결장루, 결장절제술 등)
과민성 대장증후군, 자극성장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1] 특징
1. 가장 흔한 장의 운동성 장애, 기질적 원인
2) 여성, 20~30대에 자주 발생
[2] 원인
1) 정확한 원인 불명, 장 근육의 손상으로 장벽이 과민해지는 것이 원인
2) 유전, 스트레스, 자극성 음식, 알코올, 흡연 등과 관련
3) 유발식품(FODMAPs): 올리고당, 이당류, 단당류, 폴리올
[3] 증상
1) 3가지 전형적 특성 : 변비와 설사가 번갈아 반복되며 가스 생성으로 인한 복통과 복부팽창, 기질성 질환 없음
2) 증상은 만성적, 스트레스로 유발,
변으로 점액의 양이 증가, 설사는 주로 아침에 발생
4) 유당 내인성 장애와 증상이 유사하여 감별 진단 필요
[4] 진단 기준
1) 복통과 복부의 불쾌감 : 배변으로 완화
2) 배변횟수, 배변양상의 변화
3. 점액변
4) 복부팽창
[5] 치료 및 간호 중재
1. 기질적 원인을 알 수 없으므로 대증요법 실시
2) 식사 조절 : 지방식과 가스 형성식 피하기, 음주, 흡연 금지
3) 투약 : 변 완화제, 항경련제, 설사약 등
4. 적당한 운동, 휴식, 스트레스 관리
염증성 장질환(Inflammatory Bowel Disease, IBD) 소화관에 염증을 일으키는 원인을 알 수 없는 면역성 질환으로 만성적이고 증상의 악화와 완화를 반복하여 발생합니다.
[1] 분류
1) 클론병 (국소적 회장염)
크론병1) 위치 및 특징 - 구강 항문까지의 소화기관 어느 부위에서도 발생 - 일반적으로 상행결장 근위부와 회장의 원위부에 호발(특히 회맹부에 호발) - 점막하에서 시작하여 점막과 항막으로 확대 2. 호발연령 : 15~40세
변의 양상: 묽은 설사, 드물게 혈액이 섞인다.
4) 증상 - 심한 체중 감소(주 증상) - 진행시 폐색, 누공, 농양 형성 - 흡수 불량, 영양 불량 - 우측 하복부 통증(RLQ) : 쥐어짜는 듯한 통증 - 엷은 설사 - 배변 긴박감, 실금, 이급후증 - 발열, 피로
5) 진단검사-대장경검사, 조직검사-혈액검사:Hb감소, ESR증가, CRP(+), 저알부민혈증, 저콜레스테롤혈증 등
2) 궤양성 대장염
궤양성대장염1) 위치 특징 - 결장과 직장의 점막과 점막하층을 침범하는 만성염증성질환 - 특히 직장에 호발 - 궤양이 쉽게 출혈하여 혈변 - 대장암 발생 위험이 크론병에 비해 10~20배 높다. 2. 호발연령 : 10대에서 30대 중반, 60대
3) 대변의 양상: 1일 10~20회 물과 같은 설사, 혈변
4) 증상-출혈성설사(주증상)-좌측하복부산통(LLQ):짜내는 듯한 통증-발열, 탈수, 체중감소-배변긴박감, 실금, 이급후증-저포타슘혈증-저알부민혈증-설사로 인한 대사성산소증-배변 후 완화되는 경련성복통
5) 진단검사-바륨관장, 직장내시경-혈액검사:Hb감소, WBC증가, ESR증가, CRP(+)-변잠혈반응
[2] 치료
1. 약물요법
1. 지사제 : Loperamide
2) 항경련제 : 복통 및 설사 감소에 효과적
3) 항생제 : Sulfonamide 계열(프로스타글란딘을 합성 억제하여 염증 감소), Metronidazole(혐기성 세균 치료에 효과)
4) 스테로이드(Steroid) : 대증요법 반응이 없을 경우 투여, 증상 완화 효과
5) 면역억제제 : 다른 치료반응이 없는 경우 azathioprine, 6-mercaptopurine 투여
6) 항콜린제 : 급성기 복부경련 및 설사완화에 효과(궤양성 대장염 증상이 심해지면 장운동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금지)
2. 외과적 수술 : 천공, 출혈, 폐색, toxic megacolon, 농양, 누공 등이 있을 때 실시
1) 크론병 - 누공, 농양을 유발하고 재발을 위해 가급적 장을 많이 남길 수 있도록 필요한 부분만 절제 - 소장 절제술
2) 궤양성 대장염-결장의 점막층에 영향, 누공은 드물게 결장암의 위험이 높으므로 결장 전체 제거가 바람직하다-영구적인 회장루술, 조절성 회장루술-Kockpouch, 회장주머니-항문문문문합술
[3] 간호 중재
1. 식사·영양공급
1) 총 비경구영양(TPN) : 장이 편안하도록 공급, 질소밸런스 유지
2) 저지방, 저섬유, 고단백, 고칼로리 식사를 소량씩 자주 섭취
3) 우유나 유제품은 복통 및 설사를 유발하므로 주의
4) 급성 악화시점엔 단식
5) 저섬유식이 시행된 경우 정제되지 않은 현미, 귀리, 콩류, 생야채, 생과일 금지
6) 수분과 음식물을 충분히 섭취하도록 격려
7) 피할 것 : 코코아, 초콜릿, 감귤류 주스, 찬 음식, 탄산음료, 견과류, 술, 딸기류 열매, 껍질 벗기기, 곡물이나 생과일, 고구마, 미역, 다시마, 알로에, 수박 등
2. 배변 조절: 배변 횟수, 변경도 관찰, 항문 찰과상은 따뜻한 물로 피부 청결, 건조
3. 스트레스 완화: 이완요법, 규칙적인 활동과 수면
4. 통증조절: 진통제 사용, 마약성 진통제 사용금지
복막염
[1] 원인
1) 원인 : 소화성궤양의 천공, 충수파열, 장의 괴저, 게실천공, 외상, 기타 복부수술 등
2) 이물질, 감염, 천공부위 배액 등이 복막을 자극하여 염증 유발, 세균증식 촉진
3) 외부에서 혈류를 통한 세균 전파로 감염 : E. coli, Streptoccus, Staphyloccus, pneumoccus가 가장 많다.
[2] 증상
1) 복부팽만, 강직, 식욕부진, 구역질, 구토, 발열, 장음이 들리지 않거나 감소
2. 반동성 압통
3. 움직일 때 심해지는 통증 호소
4) 가로와위, 다리 구부리는 자세를 취할 경우 통증 완화
5) 빈맥, 얕은 호흡, 불안정, 저산소증, 청색증
[3] 진단 검사
1) 백혈구 증가(백혈구 수 20,000개 이상, 호중구 증가)
복부 방사선 사진(장의 확대, 부종, 복강 내 공기와 체액의 정체)
3. 구토가 심할 경우 전해지는 불균형
[4] 치료 및 간호 중재
1) 단식
2. 수액과 전해질의 보충
3) 장관 삽입으로 감압
4. 항생제, 진토제, 진통제 투여
5) 복부절개 및 배관삽입
6) 반좌위: 염증의 확대를 방지하여 국소화
충수돌기염[1] 원인
1. 바이러스 감염
2) 충수돌기의 내외적 폐색(fecaliths, 충수돌기 뒤틀림, 장벽부종, 섬유화, 유착)
[2] 병태 생리
충수관 폐색→관강 내 압력 증가→정맥 배액 감소→혈전 및 부종→염증→괴사, 천공→복막염 초래(합병증)
[3] 증상
1. 급성통증
1) 반동성 압통 : McBurney 지점 깊숙이 누른 후 손을 뗄 때 통증 (Aaron's 징후)
2) Rovsing's 징후: McBurney 지점과 대칭적인 복벽(LLQ)을 누르면 RLQ로 통증을 느낀다.
3. 배변감, 배변으로 완화될 것 같은 느낌
4. 무릎을 구부린 자세로 누우면 통증 완화
2. 기타 : 구역질, 구토, 식욕부진, 발열, 호흡곤란, 얕은 호흡, 판자처럼 단단한 복부
[4] 진단 검사
1) 촉진 : McBurney's point의 반동성 통증 (Rovsing's sign)
맥바니점(McBurney's P oint) 2) 백혈구증가 3) X선, 초음파검사 : 오른쪽 하복부에 짙은 음영, 국소화된 공기의 흐름이 나타나는
[5] 치료 및 간호 중재
1. 금식 : 정맥 내 수액 공급
2. 투약 : 항생제 투여, 확진까지 진통제 투여 금지(증상 숨기기)
3. 비위관 삽입 : 마비성 장폐색의 우려가 있는 경우 소화관 감압
4. 금기사항 : 관장, 설사, 복부 열적용시 염증부위 자극으로 천공 유발
5. 충수돌기 절제술 : 징후 발생 24~48시간 이내에 실시
6. 수술 후 간호
1) 수술 후 반좌위 유지 : 절개 부위와 복부 긴장 완화 및 통증 완화
2) 봉합사 5~7일 사이에 제거, 2~4주 후 정상 활동 시작
3) 복막염이 가능한 경우 절개부위에 외과적 배액관 삽입
4. 장폐색이나 2차 출혈의 징후를 관찰
대장암(Colorectal Cancer
1) 저섬유 식이 : 변 생성량 감소 → 장내 변 통과 시간 지연 → 변내 발암 물질과 장 점막의 접촉 시간 증가
2) 고지방식, 저비타민식, 흡연, 알코올, 육류 과다 섭취, 과일 및 야채 섭취 부족
3. 가족력(선종성 용종, 결장암), 비만, 운동부족
4. 만성궤양성 대장염, 결장 용종 및 선종
[2] 증상
직장암의 발생 빈도·증상·통증·방사 부위 1. 우측결장암
1) 장관이 넓은
2) 대변이 싱거운 상태에서 폐색은 드물다
3. 궤양발생으로 빈혈가능
4. 체중감소, 식욕부진
5) 피로, 허약감
6) 복통, 구역질, 구토
7) 덩어리 촉진
8) 검은 변 (잠혈)
2. 좌측결장암 직장암
1. 폐색증상으로 배변습관의 변화
2) 2급후증
3. 변화의 감소
4. 변에 혈액과 진물이 섞인다
5) 직장출혈
6) 변비 또는 설사
[3] 진단 검사
1. 직장지두검사: 항문에서 손가락으로 직장종양을 촉진
2. 바륨 관장: 종양유무 확인
3 . CEA ( Tumor Marker )
1) 정상치: 비흡연자에서 5ngmL 이하
2) 증가 시: 결장 직장암, 위암, 췌장암 예측
3) 수술 전 대장암 단계 결정, 항암 치료를 통한 효과 확인, 재발 확인
4) 대변잠혈검사
1. 위장관출혈, 대장암 조기진단
2) 검사 3일 전부터 붉은살, 철분제제, bromides, steroid, indomethacin, colchicine 금지
3) 아스피린, NSAIDs와 같은 소화관 출혈을 증가시키는 약물 중단
5. 결장경 검사, 생검
1) 생검 가능, 정확한 진단 가능
2) 검사 24~48시간 전부터 맑은 유동식 섭취, 검사 당일 오전은 금식
3) 검사 당일 청결관장 실시, 출혈 및 심한 설사 준비 없이 검사 실시
4. 자세 : 무릎 가슴 (허약한 경우는 왼쪽 위)
5) 검사 후 장 천공의 징후(직장 출혈, 통증, 발열 등)의 사정
6. CT: 종양크기와 전이 여부 검사
7. X-ray 검사 : 장구조, 협착 등 검사
[4] 치료
1. 내과적 치료 : 방사선 요법, 항암 화학 요법
2. 외과적 치료
1) 결장 절제술 : 결장외과적 절제(직장, 결장 전체 절제시의 회장 누술)
2. 회장누술: 회장 말단을 복부 표면까지 끌어당겨 개구부를 만드는 수술
3) 결장 누술 : 결장과 복벽 사이에 개구부를 만들어 변을 배출시키는 수술
결장루형 [5] 수술 전 장 준비 간호
1. 금식 : 수술 전 2~3일간은 금식하고 수분만 섭취
2. 장 준비를 위한 항생제 투여 : neomycin, sulfonamide, cephalexin(장내 세균 수 감소를 위해 수술 전 12~48시간 구강 투여)
3. 장비 : 수술부위의 분변오염 예방을 위하여 설사, 관장, 좌약 이용
4. 수혈 : 심한 빈혈의 경우 수혈
5. 영양공급 : 영양상태 사정, 필요에 따라 비경구영양공급, 수분 전해질 불균형교정
6. 광범위 항생제 투여 : 감염 예방을 위해 수술 전부터 수술 후까지 정맥 투여
[6] 수술 후 장르 간호
결장 누관 세척 1. 장르관찰
1) 지름 2~5cm, 높이 0.5~5cm
2) 건강한 장르 : 습기를 머금고 빨갛게 약간 올라와 있으며 주위는
2. 피부 간호
1) 장루 주변 피부는 비누와 물로 세척하고 두드려 건조함
2) 장루 주위 피부 보호제 적용 : wafer, paste, powder
3. 주머니 비우기 : 13~12 정도 채워졌을 때 비우기
4. 주머니 교환
1.4~5일마다 또는 누락시마다 교환
2) 변 배출량이 적을 때(식전, 취침 전, 기상 후), 장을 비운 후 교환
3) 장르의 크기를 측정하여 장르의 크기보다 0.3cm 정도 크게 잘라 사용
5. 장세척
1) 형성된 변의 제거 및 규칙적인 배변습관 형성을 위해 시행
2) 시행시기: 수술 전 배변하던 시간대 매일 또는 격일로(설사 시 금지)
3) 세척시간 : 약 1시간 욕실에서 진행
4.500~1000mL 정도의 미지근한 물 사용
5) 주입 시 경련이 있으면 멈추고 심호흡, 복부마사지 후 천천히 주입
6. 냄새, 가스 조절 케어
1) 냄새 유발 식품 섭취 제한 : 계란, 치즈, 생선, 마늘, 양파, 콩, 비타민류
2) 가스 유발 식품 제한 : 양파, 양배추, 탄산음료, 무, 맥주 등
디스크[1] 원인
1. 복벽 악화: 질병, 노화
2. 복압의 증가: 임신, 비만, 기침, 재채기, 무거운 짐, 변비, 배변시 긴장 등
[2] 종류
헤르니아호발부위 1. 서혜부 탈장
1) 간접서혜부 탈장 : 복막 주머니를 만들고 그 속에 장 또는 그물이 들어가 이 주머니가 서혜륜을 통과하여 나온다
2) 직접 서혜부 탈장: 약화된 복벽 부분에서 발생, 주로 남성에게 발생
2. 대퇴탈장: 대퇴륜에서 발생, 여성에서 주로 발생
3. 절개탈장
1. 선천적, 후천적으로 발생, 가장 흔한 탈장
2) 복압상승, 비만 시 발생
4. 탯줄탈장 : 이전 수술절개부위에서 발생
5. 환원성 탈장 : 탈장낭의 내용물이 조작을 통해 복강 내 원래대로 환원
6. 비환원성 탈장
1) 탈장낭의 내용물을 촉진에 의해 되돌릴 수 없는 상태
2) 치료 안하면 염전간다
7 . 감돈 ( Incarcerated )
1. 탈장내공을 통해 나온 창자가 제자리로 돌아가지 못하고 내공에 끼어있는 상태
2) 치료 안하면 염전간다
3) 염전 : 돌출된 장고리가 너무 조여져 혈액흐름이 차단되어 조직이 괴사하는 현상
[3] 증상
1. 신체검진시 복부돌출 확인
2) 응어리를 촉진하면 유연하고 통증 있음
3. 긴장시 또는 힘을 주면 탈장이 커져 압통을 호소
4) 염전·감염 시에 심한 통증, 구역질, 구토, 발열을 수반한다.
[4] 치료 및 간호 중재
1.복압을 증가시키는 활동금지
2) 변비와 배변시 긴장예방을 위해 변완화제, 고섬유식이 제공
3. 탈장대 착용
4. 흡연으로 인한 기침시 금연
5) 탈장을 손으로 눌러 복강 내로 밀어넣어 복구를 시도하다
6) 복구가 안 되거나 재발하기 쉬운 경우 수술을 시행
치질[1] 원인
1. 가장 흔한 원인 : 정맥압의 상승
2) 배변시 긴장, 변비, 오래 앉아있거나 비만, 문맥압 상승 등 항문부위 압력 증가시 발생
[2] 증상
치핵 1. 내치
1. 직장 내 괄약근 위에 발생, 육안 관찰 불가
2. 선홍색 출혈, 탈출, 변비 가능성
2) 소리 지르기
1. 항문괄약근 밖에서 관찰 가능
2) 항문 부위의 통증, 붉거나 푸르스름한 분홍색 덩어리, 가려움증
[3] 내과적 치료 및 간호 중재
1) 변비와 긴장예방 : 고섬유식과 수분섭취 격려, 배변완화제, 용적완화제 처방
2) 증상완화 : 좌욕, 국소마취제 도포, 스테로이드 함유 항염증 크림 적용
3) 간이 강한 음식, 땅콩류, 커피, 알코올 섭취 금지
4. 장시간 앉아있는 자세 금지
5) 위생상태 유지
[4] 외과적 치료 및 간호 중재
1. 수술 및 시술방법 : 고무밴드 결찰법, 경화제 요법, 냉각 절제술, 레이저 수술, 치질 절제술
2. 수술후 간호
안위 증진, 배변 촉진, 합병증 관찰
2) 수술직후 열적용금지 (출혈위험)
3) 통증 조절: 정맥 구강으로의 진통제 투여
4. 첫 배변은 힘들므로 배변완화제 처방, 배변 전 마약성 진통제 투여
5) 정체필요 관찰 : 직장경련과 항문직장의 압통으로 정체필요
6) 변비 예방을 위해 수분과 고섬유식이 증가 및 섭취를 독려함
7) 좌욕 : 염증이 생긴 조직을 진정·청결 유지, 불쾌감과 경련을 완화, 치유 촉진, 수술 후 첫 12시간이 지나면 배변 시 또는 하루 3~4회 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