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술 단계 정의 자율주행 자동차와카테고리 없음 2021. 10. 18. 17:35
현재 자동차업계의 화두는 전기차와 함께 자율주행 자동차입니다. 한국에서는 2020년 자율주행자동차에 대한 법이 공포되어 올해 1월 1일부터 시행되었습니다. 그래서 현재 국내에서는 자율주행차 중 3단계 차량까지 운행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많은 자동차 회사들이 혈안이 돼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조만간 완전한 자율주행차를 만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오늘은 자율주행자동차와 자율주행기술의 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단계별 특징까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자율주행 자동차가 뭘까? 자율주행자동차(Autonomo us Vehicle)는 자동차의 주행과 제어를 컴퓨터가 담당하고 운전자의 개입 없이 스스로 운행할 수 있는 차량을 말합니다. 차량의 일부 기능만 컴퓨터가 담당하는 경우는 부분자율, 차량의 모든 기능을 담당하는 경우는 완전자율주행차량으로 분류됩니다. 현재 한국의 자동차관리법과 2020년에 공포된 자율주행자동차법에서는 "운전자, 승객의 다른 조작 없이 자동운전을 할 수 있는 자동차를 말한다"고 정의되어 있습니다.자율주행 자동차의 기술 단계
운전자의 개별적인 조작 없이 차량이 운행되기 위해서는 자동차에 특정 기술을 도입해야 합니다 자동운전 관련 기술과 시스템은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며, 그 기술이 어느 정도 수준에서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한 기준이 필요합니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자율주행자동차의 기술 단계입니다. 통상적으로 미국연방도로교통안전청과 세계자동차공학회의 규정이 인용되지만 민간 기관이기는 하지만 미국 교통부와 UN에서 공식 채택된 이유로 현재는 세계자동차공학회의 기준이 통용되고 있습니다.
세계자동차공학회에서는 22014년에 제출한 초안에 초안을 수정하고 2016년에 0레벨에서 5레벨로 6단계로 세분화한 내용을 수정안으로 제출했습니다. 이 수정안의 6단계는 어떤 기준으로 구분되는 걸까요? 0단계 자동화 기능이 없는 레벨 0은 자동운전 기술이 적용되지 않은 단계로 자동 비상정지 기능, 사각지대.차선이탈경보장치 등이 장착되어 있어도 운행, 제동, 가속기능 관련 자율주행기술이 장착되어 있지 않으면 레벨0으로 구분됩니다. 이 단계로 구분되는 차량은 차량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하는 크루즈 컨트롤 기능도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1단계 운전자 보조 기능= 1단계 운전자 보조 기능이 장착된 단계입니다. 훈행 및 제동, 가속 기능 중 하나의 기술이 적용된 차량을 1 단계 분류합니다. 만약 차선 유지 기능이나 어댑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의 기능이 하나라도 적용되고 있다면, 1단계 구분 차량입니다. 또한 2개의 기능이 조합되어 있어도 동시에 제어할 수 없는 차량도 1단계 차량으로 구분합니다.
2단계인 반자동 주행 기능 레벨2까지는 운전자가 직접 운전하여 전방 주시, 주행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단계입니다. 하지만 어느 정도 자율주행자동차의 모습에 가까워진 단계라고 할 수 있습니다. 2레벨의 차량은 운행, 제동, 가속의 기능이 모두 적용되어 동시 제어가 가능한 차량입니다. 그러나 이 기능들은 특정 상황에 한해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도심의 복잡한 도로 구간 주행은 여전히 운전자의 몫입니다.
▲ 3단계 조건부 자동화단계 = 3단계부터는 자율주행기능이 작동하는 동안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지 않은 단계입니다. 자율주행자동차의 초기 완성단계라고 할 수 있는 3단계는 운전에 필요한 기능이 자율운전으로 구현되었지만 자율주행 시스템이 특정 기능을 요청할 경우 즉시 운전자의 개입이 필요하기 때문에 운전자는 운전에 대한 준비를 항상 해야 합니다.
현재 한국에서는 자율주행자동차법이 공포됨에 따라 2020년부터는 3단계 자율주행차도 운행이 가능해져 한국이 세계 최초로 자율주행자동차 안전기준을 마련했습니다.
4단계 고도 자동화 단계의 4단계 차량부터는 사전적 의미의 자율주행 기능이 완성된 상태라고 할 수 있습니다. 4단계에 해당하는 차량은 제한된 조건 내에서 자율운전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운전자의 개입이 거의 없는 수준으로 운전자가 목적지만 설정하면 되는 정도의 수준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가속, 브레이크 페달이 장착될 수도 있고 장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5단계 완전 자동화 단계의 마지막 5단계는 인간의 개입이 전혀 필요하지 않은 자율주행 자동차로 어떠한 조건에서도 자율주행이 가능한 단계를 의미합니다. 이 단계부터는 운전자의 개념보다는 탑승자의 개념이 적용됩니다. 이에 따라 주행을 위한 페달과 스티어링 휠 등의 장치가 없어지고 탑승자 편의를 위해 실내가 구현될 것으로 예상됩니다.여기까지자율주행자동차의정의,그리고기술단계까지살펴봤습니다. 최근 열린 세계 최대 IT행사 CES에서는 인간을 뛰어넘는 안전성을 가진 자율주행 기술이 전시되고 있습니다. 운전석 없이 쾌적한 거실처럼 꾸며진 전기차도 보였습니다.
그러나 아직 레벨 3의 자율주행차가 현실에서 사고가 없었던 것도 아니기 때문에 자신의 차의 기능을 맹신하기보다는 장거리 운전의 피로를 푸는 정도로 활용하는 것이 제일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