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편도결석 빼는 법 구취의 원인
    카테고리 없음 2021. 6. 9. 01:50

    안녕하세요 호수 옆길입니다 날씨가 건조해짐에 따라 구취가 심해지거나 침을 삼킬 때 목에 이물질이 묻은 것 같은 느낌으로 불쾌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만. 양치질을 잘하는데 입냄새가 난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해 볼 수 있어요. 오늘은 구취의 원인, 편도결석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도결석은 편도결석 또는 편도에 있는 작은 구멍으로 음식 찌꺼기나 세균이 모여 생기는 밥알 크기의 작고 노란 알갱이를 말합니다. 이름에 결석이라고 붙어 있는데, 대부분이 돌처럼 딱딱하지 않고 부서지기 쉬운 알갱이로 냄새가 심한 것이 특징입니다.

    편도결석이 있으면 입냄새가 나고, 양치질이나 기침을 할 때, 가래를 뱉을 때, 입에서 생선 비린내가 나는 0.5mm의 노란 알갱이가 나오는데, 입냄새, 인후통, 귀의 통증 등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왜일어나는거죠?편도결석의 원인은 만성 편도염인데요. 편도염을 자주 앓게 되면 '편도선과'라는 작은 구멍이 커지게 되고 음식 찌꺼기가 붙어서 세균이 잘 번식하는 환경이 됩니다. 그 세균이 뭉쳐서 작은 알갱이가 되는거죠.

    또한 비염이나 축농증으로 후비루가 있으면 콧물이 목구멍으로 잘 가서 구강에 세균이 증식하기 때문입니다. 타액 부족으로 입안이 건조한 것도 편도 결석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보통 성인은 하루 1~1.5L 정도의 타액이 분비되어 입안에 남아 있는 음식물 찌꺼기를 씻어내 구강의 세균증식을 억제합니다. 그런데 침이 잘 나오지 않고 입 안이 건조해지면 세균 번식이 활발해지고 편도 결석을 유발하기 쉬운 환경이 됩니다.

    자가진단? 편도결석이 있는지 정확히 확인하려면 이비인후과에서 검진을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하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관심을 갖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만. 평소 양치질을 잘하는데 입냄새가 날 경우 구취의 원인이 편도결석 때문이 아닌가 집에서 아래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1. 거울을 보고 입을 최대한 크게 벌립니다.2. 작은 플래시 등으로 입 안쪽에 빛을 낸 후 혀 뿌리 깊은 곳의 편도선을 살펴보세요.3. 편도에 노란색 알갱이가 묻어있을 경우 편도결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이 있다면? 편도결석 빼는 법 입을 벌리고 안쪽을 보면 무언가가 보이고 면봉 등으로 직접 지우려고 할지도 모릅니다. 혼자 남기지 않고 깨끗이 해결하기는 쉽지 않아요. 잘못하면 입안에 긁혀서 상처가 날 수 있어요. 편도에도 상처가 생기고 염증이 생길 수 있기 때문입니다.그래서 이비인후과에서 구강 검진을 받고 후두 내시경으로 기계로 결석을 압출하는 것이 확실한 방법입니다만. 편도결석은빼고또생길수도있고계속반복되면편도적출술을하기도합니다.

    편도 결석을 예방하기 위해 편도선염이 생겼을 때 빠르게 치료하여 입안에 세균이 번식하기 어렵도록 구강 위생이 중요합니다. 평소 침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자주 마시고, 식사 후에 양치질을 잘하고, 양치 후에 양치질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오늘은 구취의 원인이 되는 편도결석 제거 방법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평소 양치질이나 물을 자주 마시는 것은 마음만 먹으면 할 수 있는 일이기 때문에 오늘부터라도 더 신경 써야 합니다. 오늘도 많이 웃는 날 만들어주세요 호수 옆의 길이었어요.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