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자료 (애드센스 기본가이드) 애드센스 콘텐츠별 예상수익
애드센스 기본 가입 화면은 애드센스를 하시는 분이라면 꽤 친숙할 거야
그러나 확실히 이전보다 지금이 더 많고 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다. 수익성 향상의 방향이나 최적화의 구성, 광고 세팅의 기본 권장사항 등, 초보자(초보자)에게는 보기 쉬운 자료가(이전보다) 많이 제공되고 있다.
기본적인 내용도 많이 다루고 있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눈에 띄는 자료는 예상 수입이다. 예전에는 이런 자료가 없어서 A라는 콘텐츠로는 수익이 얼마나 날까. B라는 콘텐츠는 어떨까 하고 추정할 뿐이었다.
경험적인 판단으로 일상이나 주변을 파악할 수 있는 사소한 테마 분야는 대체로 CPC(1회 광고 클릭당 수익: Clickper COST)의 수익성이 낮고, 금융재테크 IT 전자기기 등 통상 고부가가치의 고관여 제품서비스에서 CPC가 비쌌다.(아무래도 시장 그대로 반영)
그런데 최근 보니 애드센스 내부 자료를 잘 가공해 콘텐츠 주제별, 국가 단위별로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대략적인 예상 수익 추정 계산기를 제공하고 있었다.
지역 카테고리별 예상 수입 안내표 ※ 자료출처 : 어드센스(2021.07.15 기준)
하나하나 보기에는 무리가 있는 것 같아서. 모든지역 카테고리를 한 번씩 체크하고 자료를 2차 가공하였다.
어느 정도 고정된 것으로 생각했지만 지난해 9월 임시 저장해 둔 자료로는 아시아태평양 금융 예상수익이 위 사진처럼 1.2만$였으나 현재는 크게 늘어난 1.5$로 늘었다.
아무래도 현재로서는 유동성 공급이 활발해져 시장경제와 금융을 떠받치고 경기과열 부동산 등의 이슈가 있기 때문에 금융 쪽이 큰 폭으로 상승한 것 같다. 찾는시기에따라변동되는자료이므로아래의가공자료는단순히참고하는것이바람직하다.
* 기본적으로 각 지역별, 경제, 사회, 문화 등의 차이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상대적으로 더 높은 값, 낮은 값이 존재.
* 하단의 링크에서 상세 자료 확인 가능 (뷰어로 보기만 가능)
https://docs.google.com/spreadsheets/d/1T98izGQWSo3hWeub-I0G--7sCufFiwBlOeEyRr-OgE4 애드센스 지역 & 카테고리별 예상 수입 안내표(참고치이므로 절대 신뢰 금물) 애드센스 지역 카테고리(테마)별 예상 수입 안내표, (월별 페이지 조회수는 기본 5만 뷰 = 하루 1,700 뷰를 그대로 기준으로 함 이것이 최소치)기본, 건강, 게임, 과학, 금융, 뉴스, 도서, 미용, 피트니스, 부동산, 사법, 정부기관, 사업, 산업, $2,010, $2,010, $2, $2, $6, docs.google.com, $2, $6 $2, $2, $6, $2, 산업 02, docs.google.com
단, 하루 1,700뷰 정도의 콘텐츠 웹사이트를 기준으로 하는 평균적인 예상치의 데이터이므로 실제와는 다르다는 것을 인식하고 참고할 필요가 있다.
게임 블로그(사이트)에 1일 1,700뷰가 표시되지만, 1개월 수입은 3,000$을 넘고 건강 파트에서는 9,500$가 되지 않는다.
중대형 Web 사이트의 상위 평균의 높이가 전체 평균을 늘린 것인가, 어드센스측이 어드센스 가입을 독려? 강조하기 위해서 수치를 조금 크게 부풀려(과장해 최대치로) 제공해 주는 것인지도 모른다.
내가 예상하기로는 적게는 10배에서 많게는 100배 이상의 차이(실제 예상 수입은 위도표의 10% 내지 1% 수준에 가깝지 않을까 싶다)
그리고 특히 웹사이트의 상태, 조건, 광고의 배치 상태 등에 따라 실제 수익은 개인 사이트마다 크게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이 점에 유의하여 자료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