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도결석 빼는 법 구취의 원인
안녕하세요 호수 옆길입니다 날씨가 건조해짐에 따라 구취가 심해지거나 침을 삼킬 때 목에 이물질이 묻은 것 같은 느낌으로 불쾌하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만. 양치질을 잘하는데 입냄새가 난다면 편도결석을 의심해 볼 수 있어요. 오늘은 구취의 원인, 편도결석을 제거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도결석이 있으면 입냄새가 나고, 양치질이나 기침을 할 때, 가래를 뱉을 때, 입에서 생선 비린내가 나는 0.5mm의 노란 알갱이가 나오는데, 입냄새, 인후통, 귀의 통증 등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또한 비염이나 축농증으로 후비루가 있으면 콧물이 목구멍으로 잘 가서 구강에 세균이 증식하기 때문입니다. 타액 부족으로 입안이 건조한 것도 편도 결석의 원인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만.
자가진단? 편도결석이 있는지 정확히 확인하려면 이비인후과에서 검진을 받는 것이 가장 확실합니다. 하지만 증상이 나타나지 않으면 관심을 갖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만. 평소 양치질을 잘하는데 입냄새가 날 경우 구취의 원인이 편도결석 때문이 아닌가 집에서 아래의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1. 거울을 보고 입을 최대한 크게 벌립니다.2. 작은 플래시 등으로 입 안쪽에 빛을 낸 후 혀 뿌리 깊은 곳의 편도선을 살펴보세요.3. 편도에 노란색 알갱이가 묻어있을 경우 편도결석을 의심할 수 있습니다.
편도 결석을 예방하기 위해 편도선염이 생겼을 때 빠르게 치료하여 입안에 세균이 번식하기 어렵도록 구강 위생이 중요합니다. 평소 침이 마르지 않도록 물을 자주 마시고, 식사 후에 양치질을 잘하고, 양치 후에 양치질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